togethertom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4

90분의 드라마,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닐지도 몰라 우리가 흔히 말하는 “축구 한 경기 = 90분”정말 그럴까요?사실 그 90분이라는 시간 뒤에는흥미로운 역사와, 규칙, 그리고 현실 속 유연함이 숨어 있습니다.⏱️ 90분이라는 규칙의 탄생19세기 영국, 셰필드와 런던팀 간의 경기에서“전후반 45분씩”이라는 합의가 생겼고, FIFA 규칙으로 굳어졌습니다.🕰️ 그런데 정말 90분만 할까?현대 축구는 경기 도중 발생한부상, 교체, VAR 등으로 잃은 시간을 추가 시간으로 보충합니다.따라서 95분, 100분 이상 진행되는 경기도 많죠.🧠 추가 시간 vs 연장전추가 시간: 정규 시간 중 손실 보전용 (4~10분)연장전: 토너먼트 무승부 시 30분 (15+15)승부차기: 연장전 후에도 동점이면 적용⚠️ 새 흐름: 순수 플레이 타임 도입될까?FIFA는 실제 플레이.. 2025. 7. 21.
아웃이 되려면 어떤 조건이 있을까? 24화. 아웃이 되려면 어떤 조건이 있을까?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수시로 나오는 단어, ‘아웃’! 하지만 정확히 어떤 경우에 아웃이 되는지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기본적으로 아웃이 되는 조건타자가 삼진을 당한 경우타구를 수비수가 공중에서 잡은 경우 (플라이 아웃)주자가 베이스에서 떨어진 상태로 태그당한 경우 (태그 아웃)베이스를 강제 진루해야 할 때, 수비가 해당 베이스를 먼저 밟은 경우 (포스 아웃)🙋 예외 상황도 있어요1루를 향해 뛰는 타자는 태그가 아닌, 베이스 밟기 경쟁으로 판단됩니다.주자가 타구에 맞은 경우도 아웃이 될 수 있어요.⚠ 아웃은 ‘상황’과 ‘베이스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같은 플레이도 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요! ⚾ '병살 플레이'도 아웃의 연속!1루 주자, 타자.. 2025. 7. 20.
축구는 왜 11명일까? – 오래된 숫자에 숨겨진 이야기 우리는 너무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입니다.축구는 11명이 뛰는 경기라고.하지만 어느 날 문득, 이렇게 질문이 떠오릅니다.“왜 11명일까?”하필이면, 왜?🏫 역사의 교실, 공립학교의 운동장축구가 본격적으로 규칙을 갖추며 정형화된 시기는 19세기 영국.그 중심에는 이튼, 해로우, 럭비 같은 공립학교들이 있었습니다.그곳에서는 한 반의 인원이 대개 20~22명이었고,자연스럽게 11명 vs 11명으로 나눠졌죠.공 하나, 승부 하나. 11명씩, 공정한 시합의 시작.⚖️ 전술과 균형의 완성된 수11이라는 숫자는 단지 전통만이 아닙니다.그것은 전술의 기본 구조와 공간 배치의 균형입니다.공격수 2~3명미드필더 3~4명수비수 4명골키퍼 1명그 조화가 오늘날 축구를 예술로 만드는 기본이 되었죠.🎨 11이라는 숫자가 가지는 .. 2025. 7. 20.
심판은 어떻게 스트라이크를 판정할까? 23화. 심판은 어떻게 스트라이크를 판정할까?“어? 저건 스트라이크 아니야?”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가끔 그런 생각 들죠?사실 스트라이크 판정은 생각보다 과학적입니다.📐 스트라이크존의 기준타자의 무릎 윗부분 ~ 겨드랑이 아래까지의 공간그리고 홈플레이트 위를 통과하는 공이어야 해요 👁 심판은 감으로 판단하는 걸까?전혀 아닙니다! 경기 전부터 각 타자의 키와 자세에 따라 스트존을 파악하고 있어요.그래도 수 cm 차이는 눈으로 봐야 하니… 쉽지는 않죠.⚾ 그럼 왜 논란이 생길까?카메라 각도 vs 심판 위치가 다르기 때문스트존은 입체 공간이기 때문에 단면으로 보기 어려움TV에서는 볼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스트라이크일 수 있어요심판은 경기 내내 100개 넘는 공을 집중해서 판정합니다. 그 집중력은 정말 대단한 .. 2025. 7. 19.
중심이 흔들린다… 필라테스가 부른 골반의 반란 중심이 흔들린다… 필라테스가 부른 골반의 반란‘중심 강화’라는 이름 아래, 당신의 골반은 지금 어떤 모양으로 버티고 있을까요?필라테스는 코어 근육을 단련해 몸의 중심을 안정시키는 데 탁월하지만, 반복된 움직임 속에서 골반의 기울기나 좌우 불균형이 쌓이면 오히려 통증으로 되돌아올 수 있습니다.골반 통증, 왜 생길까요?이상근 증후군: 좌골신경을 누르는 깊은 엉덩이 근육의 비대나 긴장고관절 충돌 증후군 (FAI): 과도한 내회전/외회전으로 인한 관절 충돌골반 전방 기울기: 허리 과신전, 대퇴직근 단축으로 중심 무너짐연구에 따르면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19)에 따르면, 필라테스를 장기 수련한 사람들 중 18%가 골반 또는 둔부 통증을 겪으며,.. 2025. 7. 19.
야구에서 '강속구'는 몇 km일까?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자주 듣는 말이죠."강속구 투수입니다!"그런데 도대체 강속구는 몇 km부터 강속구일까요?140km/h 이하 → 일반적인 속도145~149km/h → 빠른 공150km/h 이상 → 강속구라 부름📌 메이저리그에서는 평균 150km/h 넘는 투수가 즐비해요. 반면, 고등학생은 평균 130km 전후.💡 그런데, 숫자보다 중요한 건?체감 속도: 투수의 투구폼, 타자의 반응, 회전수 등 다양한 요소가 체감 속도에 영향을 줘요.예: 147km/h여도 타자는 155km/h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 강속구의 느낌마운드에서 18.44m 떨어진 타자가 0.4초 안에 반응해야 한다면… 눈 깜짝할 사이에 공이 지나간다는 뜻이죠!🧠 그래서 중요한 건 ‘속도 + 제구력’빠르기만 해선 안 됩니다... 2025. 7. 18.
반응형